Loading...

이내꿈 - Organic Tender

album:altText

변화를 이야기해야 하는 음악이 있다. 새로운 앨범을 만든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변화를 전제로 다음으로 나아간다는 의미가 있을테지만, 그것을 실제로 들려주는 앨범은 사실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내꿈의 정규 앨범이 이전의 음악과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살펴 듣는 것이 중요하다. 솔직하고 투명한 감성이 매력적이었던 "이리와 내 꿈에 태워줄게"의 음악은 프로듀서 구슬한을 만나 "이내꿈"의 음악으로 폭이 넓어졌다. 악기 각각의 연주와 가사를 전달하는 보컬을 꾸밈없이 들려주던 음악은, 보다 넓은 공간으로 이동해 각각의 연주를 층층이 쌓아올리며 다채로운 세계를 완성한다. 이 세계의 앨범 안에서 「Karman Line」은 가장 깊은 감정을 노래한다. 슬픈 가사도, 울먹이는 노래도 없지만 가슴 깊이 다가오는 먹먹한 감정은 15년을 함께 하고 세상을 떠난 반려견을 향한 노래라는 설명을 보고서야 그 정체를 이해할 수 있었다. 있는 감정을 솔직하게 노래하던 그들은 다채로운 소리와 함께 시간이 좀 걸릴지 모른다는 우회적인 문장으로 슬픔을 표현한다. 음악을 듣는다는 것은 그 음악으로 공감을 얻는 일이기도 하고, 음악이 가진 아름다움 자체를 감상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이내꿈의 변화는 그 두가지를 모두 얻을 수 있는 반가운 변화였다.
음악평론가 이정희

담백함 사이로 비치는 탄탄함이 뿌듯하다. 펑크 이후의 신스팝이 슬쩍 떠오르는 구성인데, 이를 집중력 있게 표현해내는 멤버들의 호흡이 좋다. 살짝 노이즈가 걸린 기타 톤의 껄끄러운 질감은 밴드가 구현하고자 하는 바가 록의 정서, 사운드로 향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확인시켜 준다. 프로듀싱을 맡은 보수동쿨러의 구슬한이라는 이름 뿐만 아니라, 모던록 씬 동료들의 이름이 크레딧 여기저기서 발견된다.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우정이 느껴진다. 약자로 이름을 바꾼 밴드 ‘이내꿈’의 음악적인 성장이 조력자들의 노력과 함께 청자에게 확연하게 전달된다. 멜로디에는 설득력이 있고, 편곡에는 자신감이 담겨있다. 이 자신감은 밴드 스스로 굳건히 가진 확신이라기보다 밴드와 씬 사이에서 만들어진 ‘함께’라는 느낌이 강하다. 더 자주, 많이 거론되어야 할 밴드를 만난 기분이다.
음악평론가 조일동

드림팝과 포스트록의 영향이 짙은 몽환적 감성의 곡이다. 죽음과 기억, 그리고 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 Karman Line 은 세상을 떠난 멤버 민우석의 반려견을 향한 노래라고 알려져 있는데, '희망 없는 노래도 네 꼬리짓에 따라 변할 거야.', '이제 네가 자유로울 시간이야/ 조금 시간이 걸릴 거야/ 내가 너에게 닿기까지'같은 가사에서 이런 심상이 잘 드러난다. 이런 애절한 이별과 슬픔을 다루면서도, 종국에는 '너는 새로운 시작의 별이 될 수도 있어'라는 메시지도 전하며 희망과 자유를 갈망한다. 공허하면서도 깊이 있는 악기 구성, 절제된 감정을 유지하는 보컬, 그리고 구슬한의 세밀한 프로듀싱이 어우러져, 듣는 이로 하여금 마치 대기권 밖을 유영하는 듯한 감각을 선사한다. 과거 '이리와 내 꿈에 태워줄게' 시절의 음악에 비해 성숙하고 정제된 사운드로 진화했으며,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기보다는 공간 속에 흩뿌리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단순한 애도곡을 넘어, 새로운 출발과 끝맺음에 대한 사색적 여정을 담고 있으며, 이는 Karman Line 이라는 곡명이 함축하는 '경계선'의 의미와도 맞물린다.
음악평론가 유성은

흘러간 꿈에게 안부를, 3인조 신스록 밴드 이내꿈.
이름과 장르의 틀을 넘어 더 유연하고 자유로운 모습, 한편으로는 한층 선명한 방향성을 갖추고 있는 이내꿈.
2021년 대구에서 ‘이리와 내 꿈에 태워줄게’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한 이들은 이번 정규앨범 『Organic Tender』을 통해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첫 트랙 「Before Sunrise」는 어두운 터널을 담은 앨범 커버와 이미지가 연결된다. 살랑이는 일렉기타, 다소 빠른 템포의 드럼, 터널에 스며드는 빛처럼 곧고 흐릿한 신스 패드가 어우러진다. 이어 신시사이저가 더 밝고 깊게 요동치며 “How could I?”라는 물음이 터져 나오는 순간, 장면은 짜릿하면서도 장난스럽게 전환된다.
「Noise」와 「Karman line」을 들으며 밴드 이름에서 유추한 예상이 틀리지 않았다는 반가움을 느꼈다. 슈게이징과 포스트록 특유의 농도 짙은 디스토션과 퍼즈 사운드가 직관적이고 또렷하다. 팝과 록의 매력을 바탕으로 노이즈 사운드를 더한 장르의 관성을 살짝 비껴가면서도, 충분히 누구에게나 친숙할 만큼 편하게 다가선다. 특히 「Karman line」에서는 모든 악기가 세 박자를 밟고, 그 위로 반짝이는 신시사이저가 흐른다.
한편 「Light」와 「Breath」에서는 속도가 느려진다. 보컬 민우석의 목소리는 차분해지고, 통기타와 어쿠스틱 피아노의 음색이 더욱 선명해진다. 마치 캠핑장에서 꺼내 든 기타처럼, 한 음 한 음을 누르며 기뻐하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자극한다. 「Breath」의 마지막 목소리 이후에는 피아노가 전면으로 떠오르고, 기타가 강한 피킹을 이어갈 때도 수수한 피아노 소리가 먼저 귀에 들어온다. 이 곡에서 어쿠스틱 피아노의 울림은 유독 더 따뜻하고, 낭만적으로 느껴진다. 기존에 건반의 역할이 전기와 증폭, 이에 따른 왜곡을 수반했다면, 「Breath」의 건반은 손이 건반을 누르고, 해머가 올라 현을 타건하고, 현이 떨리며 피아노를 울리는 어쿠스틱, 즉 사물의 진동과 울림, 움직임이 순수하게 담겼기 때문일 것이다.
「Loove」에서는 반복되는 베이스 리프와 그에 맞춰 두근거리는 킥과 라이드, 흩뿌려진 코드들, 그리고 퍼즈 톤으로 가득 찬 라인이 한순간에 뻗어 나오며 이내꿈만의 낭만적인 노스탤지어를 자극한다.
「Sisley」에 도달하면 힘을 더 쓰지도, 설명하지도 않는다. 그저 화음을 누르고, 코드를 스트로크하며 기타 리프를 이어간다. 과시 없이, 힘을 빼고, 꿈에서 깨어나 이불을 개고 새로운 아침을 맞이하는 듯 자연스럽게 앨범을 닫는다. 모든 악기가 연주를 마치고, 홀로 남은 구절 “I'll be your night I'm looking for your light”는 앨범이 끝났음에도, 우리의 어디엔가 남아있을 인사를 남기며 떠난다.

이내꿈은 꿈과 시간의 형태를 앨범에 담아냈다. 마치 천천히 잠에 들다 결국 깨어나는 꿈처럼, 『Organic tender』는 시작과 끝이 선명한 서사를 지닌다. 그래서 이 글도 트랙 순서를 따라가려 했다. 이미 오랜 시간 활동해온 이들의 첫 정규앨범은 정직하고 단단하다. 무언가를 덧붙이거나 과하게 비틀지 않았다. 어떤 순간은 장르의 언어를 통해 강렬함을 드러내고, 또 어떤 순간은 말로 치환하기 어려운 감정이 청자의 깊은 곳을 두드린다. 그렇게 모인 트랙들이 앨범 전체를 치밀하게 구성한다.
앨범 제작 중 피아노를 맡은 최원민은 손목 부상을 겪어, 정상적인 연주가 어려웠다. 아마도 손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신시사이저를 활용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 앨범은 순간적으로 신스팝처럼 들리기도 하다가, 이내 강렬한 모던록의 이미지를 재현한다, 슬로우코어 같은 느림의 미학, 담담하게 내뱉어지는 포키한 발라드 까지, 한 장르에 멈춰있지 않은 채 이내꿈만의 소리를 완성한다.  보컬, 기타, 드럼, 베이스, 건반 하나의 흐름으로 나아가며 앨범의 시작과 끝을 함께 맺는다. 『Organic tender』는 물리적인 사운드로도, 감정의 궤적으로도 선명한 내러티브를 품고 있다.
-장영재(음악취향Y)-

이내꿈 [Organic Tender]

끊임없는 물음 속에서 새어 나오는 존재의 가벼움,
그 미묘하고도 유기적인 인간 군상에 대한 이내꿈의 여덟 문답 [Organic Tender]
—Van Ji Chuk—

“이리와 내 꿈에 태워줄게”라는 이름을 떠나보냈다. 더는 다섯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 정규앨범을 준비하며 나는 절대적인 진리를 찾는 일을 그만두었다. 모두에게 사랑받고 싶은 마음도 내려놓았다. 내가 쌓은 모래성을 무너뜨렸다. 그것은 ’나‘가 아닌 무언가였으니까. 곡을 새로 쓰기까지 몇 달이 걸렸다. 나를 알아가는 데에 든 시간이었다. 기다려준 동료들에게 고마웠다. 하고 싶은 걸 했고, 하고 싶었던 말을 담았다. 세상에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아닌, 내가 중얼거리던 이야기들을 불렀다. 모순되고 치우쳐진, 누군가는 이상하다고 말할-. 그렇지만 이게 나다. 세상의 이물로써 당당하게 살아가려 하는 나의 소소한 고백들.
-우석-

이리저리 얽히고설켜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던 우리 음악이 결국 만들어졌다. 고치고 뒤엎고, 우리에게 새로운 시도들로 가득 채웠다. 고통도 들어가 있다. 헛된 고생만은 아니었다. 많은 걸 배웠으니까. 고민하고 괴로웠던 만큼 그동안 우리에게 볼 수 없던 매력적인 음악이 앨범에 담겼다. 멤버들도 그렇게 생각하겠죠?.
-원민-

이 앨범은 시작과 끝을 잊고 중간에서 헤매이는 우리들의 모습이다. 그 사이엔 기쁨과 분노, 사랑과 즐거움이 담겼다. 우리가 도착했는가? 앨범을 낸다는 것이 도착이라고 하면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우리의 여정은 여전히 아득하게만 느껴진다. 저마다의 마침표를 찍어왔음에도. 이번 앨범 속에서 우린 마침표를 그리고, 끝맺는 것에 대해 배웠다.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서, 머나먼 지평선을 바라보며 살아가기 위해서. 내가 현시점에서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게 된다면 이 앨범을 유서로 이해해도 좋다.
-태양-

[Credit]
COMPOSED
By. 민우석

LYRICS
By. 민우석

ARRANGED
By. 이내꿈
By. 구슬한 @보수동쿨러

PRODUCED
By. 구슬한 @보수동쿨러

VOCAL
By. 민우석

BASS
By. 민우석

A.GTR
By. 민우석

E.GTR
By. 김태양

SYNTH
By. 최원민

DRUM
By. 박진

CHORUS
By. 이내꿈
By. 배들소 @드링킹소년소녀합창단
By. 장영은 @이글루
By. 이왕동 @이글루
By. 정희 @이글루
By. 도큐 @디파이
By. 인디생존자 @디파이
By. 존해서빅마우스
By. 최성욱
By. 윤태민
By. 김수현
By. 허영민

RECORDING
By. 김병규 @비치타운뮤직
By. 천학주 @머쉬룸레코딩스튜디오
By. 황경수 @대구음악창작소
By. 김태양, 민우석 @이내꿈

MIXING
By. 천학주 @머쉬룸레코딩스튜디오

MASTERING
By. 강승희 @소닉코리아

ARTWORK
By. 영민필름

DESIGNED
By. 영민필름

M/V DIRECTED
By. 영민필름

SPECIAL THANKS TO
지베이스악기사
배들소 @드링킹소년소녀합창단
팔로
제임스레코드
꼬뮨공동체

SUPPORTED
By. 대구음악창작소

PUBLISHED
By. 미러볼뮤직

발매일

2025년 3월 2일 일요일

수록곡

  1. Sisley
  2. Karman Line
  3. Light
  4. Sophie
  5. Before Sunrise
  6. Noise
  7. Looove
  8. Breath

스트리밍 링크

멜론

이내꿈의 다른 앨범

album:altText
album:altText
album:altText
album:altText
album:altText
album:altText
album:altText